'마케팅학'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마케팅학53

[제품수명주기]- 두 번째 이야기와 사례 3. 성숙기(Maturity Stage) 성숙기에는 판매의 증가율이 현저히 줄어들기 시작하고 마침내는 판매가 어느 일정한 수준을 맴돌게 된다. 성숙기는 보통 앞의 두 단계보다 오래 지속된다. 우리가 접하는 대부분의 제품은 성숙기에 있으며 따라서 마케팅 관리자가 하는 일의 대부분은 성숙한 제품을 관리하는 것이다. 이 시기의 가장 큰 특징은 회사들 사이에 경쟁이 아주 치열하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시장의 전체 수요는 더 이상 늘지 않는데, 이미 많은 경쟁사가 시장에 들어와 있어 전체 생산량이 전체 판매량을 능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성숙기에는 경쟁에서 오는 압력으로 인하여 전반적으로 가격이 내려가며 판매촉진을 위한 여러 가지 조치(특별 할인 · 할인용 쿠폰 등)가 더 많이 그리고 더 자주 취해진다. 이 시기의.. 2022. 8. 1.
[제품믹스와 제품계열의 관리] 사례와 [제품수명주기] - 첫 번째 이야기 사례 '면도기와 면도날(razor and blade)' 전략 제품믹스 확대 전략으로 '면도기와 면도날(razor and blade) 전략'이 있다. 이 전략은 20세기 초 미국의 면도용품 회사인 질레트(Gillette)가 면도기를 처음 출시하면서 그 이름이 유래된 전략이다. 면도날이 무뎌질 때마다 날을 세워 써야 하는 소비자 불만에 착안해, 질레트는 면도날과 면도기를 분리해 면도날이 무뎌지면 새날로 갈아 끼울 수 있는 제품을 출시했다. 질레트는 판매 촉진을 위해 면도기는 거의 공짜로 주고, 소모품인 면도날에 높은 이윤을 붙여 팔았다. 질레트가 이후 100년 이상 세계 면도기 산업을 호령할 수 있었던 가장 중요한 이유로 경영학자들은 이 '면도기와 면도날 전략'을 꼽는다. 이렇게 시작된 '면도기와 면도날 전.. 2022. 8. 1.
[제품믹스와 제품계열의 관리 ] 한 기업이 생산하여 판매하는 모든 제품계열(product line)과 품목을 통틀어 제품믹스(product mix)라고 일컫는다. 제품계열이란 제품믹스 중에서 물리적 기술적 특징이나 용도가 비슷한 제품의 집단을 말한다. 한 기업의 제품믹스는 일정한 너비(width)와 길이(length)를 갖고 있다. 제품믹스의 너비란 기업이 몇 개의 제품계열을 갖고 있느냐 하는 것이고, 제품믹스의 길이는 제품믹스 안에 있는 품목의 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어느 자동차 회사의 제품믹스가 에 있는 바와 같다고 하자. 계열 1 : 승용차 계열2 : 트럭 계열3 : 버스 ^ 길 이 v 소형 일반화물 소형 중형 덤프트럭 중형 레미콘 대형 이 회사는 세 개의 제품계열(승용차· 트럭· 버스)을 갖고 있으므로 제품믹스의 너비는 3.. 2022. 7. 31.
[ 제품의 분류 ] (1) 소비재와 산업재 제품을 여러 유형으로 분류하는 이유는 유형마다 서로 다른 마케팅 믹스 전략이 적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제품을 여러 가지 다른 기준에 따라 어떻게 분류할 수 있나를 보여 주고 있다. 소비재는 최종소비자가 스스로 쓰기 위해서 구입하는 상품이다. 반면에 산업재는 개인이나 기업이 다른 상품을 생산하거나 사업 활동을 하는 데 쓰기 위하여 구입하는 상품을 말한다. 이처럼, 소비재와 산업재를 구분 짓는 것은 상품의 용도에 있으므로 똑같은 물건이라도 구매 목적에 따라 소비재일 수도 있고 산업재일 수도 있다. 예컨대 가정주부가 시장에서 사는 CJ제일제당의 설탕은 소비재이지만, 동양제과에서 캐러멜을 만들기 위해 구입하는 CJ제일제당의 설탕은 산업재로 볼 수 있다. 소비재와 산업재가 구입되는 과정에.. 2022. 7.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