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지셔닝 전략] - 사례와 내용요약
본문 바로가기
마케팅학

[포지셔닝 전략] - 사례와 내용요약

by 지뇨떄라삐 2022. 7. 27.
반응형

USP 전략 실례
제품 이미지 한국의 현대 자동차 : 합리적인 품질, 높은 가성비
일본의 Toyota 자동차 : 신뢰성 , 내구성
독일의 Benz 자동차 : 최고급 , 기술력
독일의 포르쉐 자동차 : 디자인 , 스피드 
가격 / 품질대 현대백화점 : 고가격 , 고품질
이마트 : 저가격의 합리적인 품질
경쟁사와의 대조 Seven-up : 콜라가 아님 (uncola 캠페인)
경쟁사에 도전 Avis의 대 Hertz 전략 : 우리는 2등입니다.
그러나 더 열심히 노력합니다.
(We're number two. But we try harder.)

(회사들의 USP 사례)

반응형

[포지셔닝 전략] - 내용 요약
오늘날에는 소비자들의 욕구가 더욱더 다양해지고 있고 또 자신들의 욕구를 적극적으로 충족시키려고 하므로 시장 세분화는 이제 거의 필수가 되었다. 기업은 시장을 세분함으로써 고객의 욕구를 더 정확히 충족시킬 수 있고, 그들의 상표 애호도를 높일 수 있으며, 또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시장을 나누는 기준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대체로 좋은 세분화 변수는 소비자들의 행동과 관련이 있어야 하며, 측정 관찰이 가능해야 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지리적· 인구 통계적· 사회심리적 변수들은 측정· 관찰의 가능성은 높지만, 소비자의 행동과의 관련성이 떨어지며, 행태적 변수들은 소비자의 행동과의 관련성은 높지만, 측정 관찰의 가능성은 낮은 경우가 많다. 그래서 여러 개의 시장 세분화 변수를 동시에 활용하여 시장을 세분화하는 경우가 많다. 시장 세분화가 끝나면 기업은 자사의 자원, 제품의 동질성, 제품 수명주기, 시장의 동질성, 경쟁사의 마케팅 전략 등을 고려하여 자사에서 가장 적합한 시장 공략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그런 다음 객관적으로 매력이 있고 자사의 성공요건을 갖춘 세분시장을 표적시장으로 삼아야 한다. 표적시장을 선택했으면 포지셔닝을 통해 기업은 이제 자사 제품에 가장 유리한 방향으로 소비자들의 마음속에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반응형

댓글